제주지역 인구가 지난해 14년 만에 순유출을 기록했다. 20대 청년층의 탈제주 현상도 뚜렷하게 감지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제주로 전입한 인구(8만1508명)에서 전출한 인구(8만3195명)를 뺀 순이동인구는 -1687명으로 나타났다. 제주로 들어온 사람보다 떠난 사람이 더 많았다. 순이동인구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09년 이후 14년 만이다.
제주도 인구는 2006년 55만8496명에서 2023년 67만5252명으로 17년 만에 20.9%(11만6756명)나 증가했다.
순이동인구는 2010년부터 플러스를 기록해 2016년 1만4632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2020년 3378명, 2022년 3148명으로 크게 감소하다 지난해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이 기간 제주도 인구는 국제학교 개교와 관광객 증가, 제주살이 등 이주 열풍을 타고 짧은 시간에 급증했다.
하지만 2019년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기 시작했다.
제주도 인구 유입 감소는 부동산값 상승에 따른 거주지 마련 부담 등이 주된 요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제주지역 민간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2574만원으로, 서울지역(3494만원) 다음으로 높았다.
관광 서비스업 외 일자리가 부족하고, 물가가 높지만 급여 수준이 낮은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대 청년층의 탈제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해 연령대별 전출 규모를 보면 20대가 21.5%(1만7942명)로 가장 많았다. 20대에서만 2002명이 제주를 떠났다. 지난해 제주 전체 순유출인구(1687명)보다 많았다.
제주도도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도는 오영훈 지사 주재로 지난 8일 첫 개최한 월례 경제정책전략회의 주제를 ‘청년인구 유출방지 방안’으로 잡고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오 지사는 “청년 인구 감소는 지역에 매우 절박한 문제”라며 “전 부서가 이 같은 인식을 공유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접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도내 기업 채용현황 및 계획, 도내 유치·창업 예정 기업의 채용 전망, 행정시에 인허가를 신청한 민간기업 현황 등 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청년 정착을 뒷받침할 세부 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앞서 제주도가 2022년 실시한 조사에선 제주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일자리 부족, 열악한 근로 환경, 높은 생활 물가, 주거비용 부담, 문화활동 기회 부족 등이 선순위에 꼽혔다.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9876595